
- 기업 개요 2. 주가 흐름 3. 2021년 실적 4. 2020년 실적 5. 전망 & 이슈 정리
- 1. 기업개요 – 인적분할에 의하여 설립된 회사로 2020년 8월 재상장한다 – 분할 전 회사인 솔브레인홀딩스의 사업 중 반도체/전자 관련 화학재료 제조 및 판매사업 부분을 영위하고 있다.-삼성전자, 삼성디스플레이, SK하이닉스,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에 공정용 화학재료 등을 공급하고 있다.삼성SDI, SK이노베이션, LG화학 등 국내 2차 전지 업체에 관련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.




2. 주가흐름 300원 (11.12기준)

지난해 9월 201,100원으로 최저치를 기록해 5일선 기준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다 7월 372,600원 피크를 달성한 뒤 현재는 24만원대까지 내려갔다.


올 7월 최고가를 372,600원까지 찍은 뒤 외국계 매도 주문이 폭주하면서 18일 거래에서 20만원대까지 떨어졌다. 솔브레인이 20만원대로 떨어진 것은 종가 기준으로 4월 1일 이후 약 4개월 보름 만이다.현재 주가는 24만원대로 지난해 9월 바닥을 쳤던 20만원대 가격과 큰 차이가 없다.현금 보유율도 높고 재무도 탄탄해 삼성전자의 1차 하청업체이기 때문이다.이제 찍어도 되지 않을까 배당규모를 키울 정도로 안정적인 매출이 있고 반도체뿐 아니라 디스플레이, 2차전지 소재 등을 두루 갖춘 탄탄한 기업이다.

① 주가: 242,300원(11.1 2 기준) ② 시가총액: 1조8894억원 ③ 시가총액 순위: 코스닥 21위 ④ 52 주가: 372,600원 ⑤ 52 주가하가: 372,600원 ⑥ 외국인 보유지분: 2,146,047 주⑦ 외국인 소지율: 27.59%

6거래일 연속 외국인이 끌어안고 있는 상황이어서 오히려 기관은 8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.

5일 기준 외국인 순매매량은 26,365 정도다.
◆ 지분구조

솔브레인은 지난해 인적 지분을 결정해 지주회사인 솔브레인홀딩스와 사업회사인 솔브레인으로 분할됐다. 분할기일은 2020년 7월 1일로 두 회사의 분할비율은 0.5529115:0.4470885였으나 재상장 이후 사업회사의 가치가 대폭 상승했다. 분할 직전 솔브레인의 주가는 95,900원였으며 분할 첫날 솔브레인홀딩스는 59,800원, 솔브레인은 262,000원으로 장을 마쳤다.
3. 2021년 실적

주가는 계속 하락하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은 20%대를 유지하고 있고 PER는 11배다. 부채비율이 매우 낮고 현금 보유가 매우 많은 건실한 기업이다.
[1분기 실적] – 매출 : 2392억원 – 영업이익 : 505억원 – 당기순이익 : 421억원
1분기는 중국 연휴의 영향으로 감소한 영업일과 디스플레이 계절 비수기로 전기 수준의 실적을 기록했다.
[2분기 실적] – 매출액 : 2435억원 (전년 동기 대비 17.8% 증가) – 영업이익 : 431억원 (전년 동기 대비 13.8% 감소) – 당기순이익 : 310억원 – 영업이익률 : 17.7%
▶매출총이익률이 1분기 대비 3.7%포인트 감소한 점을 감안하면 일부 제품에서 원자재비 상승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.

솔브레인의 수출 규모는 1.0%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직접 수출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.
[3분기 실적] – 예상 – 매출액 : 2562억원 – 영업이익 : 562억원
◆ 매출 구성


반도체 재료가 62.78%를 차지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재료가 15.8%의 매출을 견인하고 있다.그리고 2차 전지 전해액, ND 자석등의 매상 비중은 21.42%로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.
4. 2020년 실적

지난해 매출액은 4701억 원, 영업이익은 1040억원, 당기순이익은 649억원을 기록했다.부채비율은 42%, 유보율은 12,226%로 현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. 현금 상황은 지난해 기준 1200억원대로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흐름도 좋아 배당을 올리기도 쉬웠다.지난해 배당금은 보통주당 195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으며 시가배당률은 0.73%, 배당금 총액은 151억원 규모다.
